로션 바르고 선크림 ‘이렇게’ 발랐나요?…잡티 생기는 지름길입니다 > 문의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문의게시판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로션 바르고 선크림 ‘이렇게’ 발랐나요?…잡티 생기는 지름길입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rcxjfyrg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6-29 17:08

본문


자외선 차단 효과 떨어뜨리는 습관
하나의 제품만 바르고 흡수시켜야



기미와 잡티를 막기 위해 매일 선크림을 바르고 있음에도 피부가 점점 칙칙해진다면, 자외선 차단제 자체보다 그 전 단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피부과 전문의들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기 전 기초 화장품을 과하게 바르면, 차단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로션이나 에센스 등으로 피부가 번들거리는 상태에서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경우, 차단 성분이 피부에 고르게 흡수되지 않거나 쉽게 닦여나간다는 설명이다.

특히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유기자차)를 사용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유기자차는 피부에 흡수된 뒤 자외선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를 열 에너지로 전환하는 방식인데, 이 과정에서 다른 기초 화장품과 섞이면 차단 성분이 희석되거나 화학 반응이 일어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로션 하나 정도만 가볍게 바르고, 완전히 흡수되길 기다렸다가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른 뒤에는 손이나 소매에 쉽게 닦여나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자외선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의 SPF와 PA 지수도 확인해야 한다.

SPF는 자외선B(UVB)를 차단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SPF 30은 약 96.7%, SPF 50은 약 98%의 차단 효과를 가진다.

PA는 자외선A(UVA)를 차단하는 지수로, ‘+’ 기호가 많을수록 효과가 크다.

실내 활동 위주일 경우 SPF 10~30, PA+++ 정도로도 충분하지만, 야외 활동이 많은 날에는 SPF 50, PA++++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자외선 차단제를 올바르게 발랐다 하더라도 땀이나 마찰로 인해 쉽게 지워질 수 있기 때문에 두 시간마다 한 번씩 덧바르는 것이 좋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 역시 유통기한이 있는 화장품이기 때문에, 사용 전 확인이 필요하다. 보통 개봉 후 1년이 지나면 성분이 산화되거나 변질돼 차단 효과가 크게 떨어질 수 있다. 특히 유기자차는 무기자차보다 산화에 취약해 유통기한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전문가들은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것만큼 자외선 자체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자외선이 가장 강한 정오 전후 두세 시간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불가피할 경우 챙 넓은 모자나 양산 등을 이용해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좋다.



저열량 다이어트 부작용인 줄 알았는데…위암 진단 받은 여성, 증상 뭐길래
[오늘의 운세] 2025년 6월 3일
한국인이 사랑하는 ‘매운맛’…“위장 속 폭탄” 심장마비 위험 높인다?
“당신의 ‘공통령’에 투표하세요”…대전서 열리는 ‘덕후들의 박람회’
47세 맞아? 최강희 동안비결… 아침마다 ‘이렇게’ 먹는다
어머니는 망설였지만, 간 떼어준 50대 효자…‘새 삶’으로 보은
‘통산 안타 0→타율·안타 1위’ 인생역전…두산에 단비 된 오명진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6일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24일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6일






m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02
어제
1,621
최대
8,205
전체
282,753

38453)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로 201 TEL 053-850-5000 (대표번호, 학생행복콜센터) FAX 053-850-5009
Copyright© 2017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LOGIN

대구대학교
홈페이지
K-MOOC DU-MOOC 교수학습
개발센터
비교과교육
혁신센터